본문 바로가기

온열 사랑방/Good Images

알록달록 컬러풀 '유리 보석 옥수수' 인기 폭발 알록달록 컬러풀 '유리 보석 옥수수' 인기 폭발 지난해 페이스북을 통해 처음 공개돼 화제를 일으킨 알록달록한 ‘컬러풀’ 옥수수가 매진사태를 일으킬 만큼 큰 인기를 얻고있다. 최근 미국의 비영리 종자단체인 네이티브 시즈는 온라인을 통해서만 판매되는 ‘글래스 젬 콘’(Glass gem corn·유리 보석 옥수수)이 인기리에 판매되고 있다고 전했다. 이름처럼 마치 보석이 박힌듯한 이 옥수수는 관상용이 아닌 실제로 먹을 수 있는 농산물이다. 그러나 특별한 옥수수인만큼 탄생 사연도 길다. 처음 이 옥수수는 오클라호마 출신의 체로키 인디언 출신 농부 칼 바네스가 재배하다가 세상을 떠나기 전 친구인 그렉 쉔에게 보존을 부탁하며 종자를 넘겼다. 이후 쉔은 이 종자를 다시 애리조나에 위치한 작은 종자회사 대표이자 비영리.. 더보기
세계에서 가장 긴 터널과 동굴 세계 가장 긴 터널과 동굴 세계 가장 긴 터널과 . 동굴 스위스 고타르 베이스 2010년 10월15일 알프스 산맥을 관통하는 세계에서 가장 긴 터널이 스위스에 모습을 드러냈다. 중부 알프스에서 시작, 해발 2983m의 피즈 바트지라 부근을 통과해 이탈리아로 이어지는 이 터널은 총 길이 56.97㎞의 고타르 베이스 터널. 터널에 철도를 놓는 작업이 마무리되는 2017년이면 길이 54㎞의 일본 세이칸(靑函) 터널을 제치고 세상에서 가장 긴 터널로 기록될 예정이다. 이 터널은 ‘친환경’ 터널이다. 스위스 산길을 질주하는 연간 120만대의 화물수송 트럭의 환경 훼손을 막기 위해 지어졌다. 차량 매연을 없애기 위해 터널에 레일을 깔아 철도 전용 터널로 이용할 계획이다. 스위스는 20여년 전 여러 번의 국민투표를 .. 더보기
태평양과 대서양을 잇는 파나마 운하 태평양과 대서양을 잇는 파나마운하 스에즈 운하를 성공시킨 프랑스가 태평양과 대서양을 연결하는 가장 단거리인파나마에 운하를 건설하기 시작한 것은 1880년의 일이다. 3단 도크식으로 물 수위를 8.5m씩 낮춰 통과하는 선박들 대서양과 태평양의 조수간만의 차이를 극복하는 방법과 116m의 높은 암반 이 있는 산을 뚫는 일이가장 큰 문제였다. 공사 중 2만여명이 질병, 안전 사고로 죽어갔고 프랑스는 결국 부도를 내고 공사가 중단되면서미국이 다시 인수를 하게 되었다. 오전 오후로 나누어 통과하는 파나마 운하, 통과를 기다리는 선박 미국은 전 세계 건설 전문업체 43개를 초빙하여 10년동안 건설하여 1914년에 완공하게 된다.파나마 운하를 잇는 구역을 미국령으로 만들고 운영권도 확보하게 된다. 8대의 괘도 차량이.. 더보기
"뱃속의 알까지 다보여" 투명한 생물 '신기해' 해외 블로그 사이트인 ‘오디닷컴(Oddee.com)’에서는 최근 피부가 투명한 생물들을 모아 소개했다. 사진 속 생물들 중 유리 개구리는 품고 있는 알이 보일 정도로 속이 훤하게 들여다 보인다. 이 개구리는 베네수엘라에서 볼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머릿속이 투명 유리처럼 들여다보이는 심해 물고기 ‘배럴아이(Barreleye)’도 있다. 배럴아이의 머릿속에는 투명 유체로 채워진 머리의 보호막 내에서 회전시킬 수 있는 가볍고 민감한 관형 눈이 있다. 입 위에 눈처럼 보이는 두 구멍은 후각기관이다. 이 외에도 잠자리처럼 투명한 날개를 가진 나비 ‘그레타 오토(Greta Oto)’를 비롯하여 혈액까지 투명하다는 아이스 피쉬 등 신기한 모습을 가진 투명 생물들이 소개됐다. 안지은 리포터 [출처=오디닷컴] 더보기
바다와 바다가 만나는 지점, ‘지구가 멸망할 것 같은 분위기’ 바다와 바다가 만나는 지점, ‘지구가 멸망할 것 같은 분위기’ 기사입력2011-12-22 20:03기사수정 2011-12-22 20:03 바다와 바다가 만나는 지점의 사진이 공개됐다. 최근 각종 온라인 커뮤니티 게시판을 통해 ‘바다와 바다가 만나는 지점, 신비로운 자연현상’이라는 제목으로 사진이 한 장 게재됐다. 공개된 사진 속 바다는 가운데 파도를 중심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두 바다는 물의 색깔부터 육안으로도 구별이 가능할 정도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는 덴마크 최북단 스카겐(Skagen) 그레넨 지역의 바다로 알려졌으며 밀도가 다른 서쪽 해류(북해)와 동쪽 해류(발트 해)가 만나는 곳으로 이 지역 주민들은 이 현상을 ‘세계의 끝’이라고 부른다고. 한편 이를 접한 누리꾼들은 “지구가 멸망할 것 같은 이.. 더보기
엄마에게 ‘메롱’하는 아기 원숭이 순간 포착 엄마에게 ‘메롱’하는 아기 원숭이 순간 포착 엄마 원숭이에게 혀를 쏙 내밀며 메롱하는 아기 짧은꼬리 원숭이의 순간포착 사진이 영국 매체 메트로에 보도돼 웃음을 주고 있다. 이 포착사진은 미국 하와이 출신 전문 사진작가 작 노일(26)이 인도네시아 발리 중부에 위치한 우붓의 ‘몽키 포레스트’를 여행하다 우연히 촬영했다. 몽키 포레스트에는 일명 ‘원숭이 사원’으로 유명한 두르가 사원을 중심으로 340여 마리의 짧은꼬리 원숭이들이 살고 있다. 나무에 올라간 아기 원숭이를 따라온 엄마 원숭이, 순간 아기 원숭이는 마치 인간 아이의 심통 맞은 표정처럼 엄마 원숭이에게 혀를 내밀며 메롱을 했다. 사진을 더욱 재미있게 하는 것은 황당해 하는 엄마 원숭이의 표정. 버르장머리 없이 메롱하는 아기 원숭이와 이를 황당해하며.. 더보기
번개맞는 씨엔타워-로이터 올해의 사진 캐나다 토론토 씨엔타워 주변에 번개가 떨어지는 순간을 포착한 사진이 '2011 로이터 올해의 사진' 중 하나로 선정됐다. 이 사진은 지난 5월 29일 촬영됐다. REUTERS/Mark Blinch 더보기
[퍼온글]사람 손 닮은 당근! 쓰기 | 삭제 | 이동 | 메일 | 인쇄 사람 손 모양의 당근이 등장해 세계적인 화제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20일 영국 데일리 매일(Daily Mail)에 따르면 영국의 중수부 지역 슈롭셔에 있는 농부 피터 잭슨은 자신의 농장에서 사람 손가락과 꼭 닮은 당근을 수확했다. 잭슨씨는 "처음에 이 당근이 사람의 손인줄 알고 매우 놀랐다"며 "너무 신기해 계속 만지면서도 당근인지 의심했다"고 말했다. 데일리 매일은 `손 당근` 이외에도 사람 얼굴 형상을 하고 있는 파프리카를 소개했다. 파프리카를 반으로 자르자 웃음을 띤 사람 얼굴모습이 나왔다며 '미소짓는 파프리카' 사진을 소개했다. *출처: http://blog.joinsmsn.com/raphason/11551979 더보기
[퍼온글]손가락 7개, 발가락 8개 쓰기 | 삭제 | 이동 | 메일 | 인쇄 차이나 데일리는 손가락 7개, 발가락 8개인 기형아의 사진을 보도했다. 올해 6살인 소년은 라오닝성 출신으로 7개 손가락 중 약지 세개가 붙어있으며, 엄지 발가락이 보통사람보다 훨씬 작다. 오른손 엄지에 돌기처럼 나온 손가락 까지 합하면 양쪽 합쳐 손가락이 15개, 발가락이 16개다. 유전학자들은 유전자가 돌연변이를 일으켜 이같은 현상이 나타났다고 말했다. *출처: http://blog.joinsmsn.com/raphason/11551944 더보기
[퍼온글]조련사와 '악어밥' 날씨가 참 덥습니다. 더위가 싹 가시는 오싹한 사진 한 장 소개합니다. 환경의 날인 5일 필리핀의 한 동물원 조련사가 악어 먹이를 주고 있습니다. 악어의 원초적인 공격성을 살리기 위한 것일까요. 보기만 해도 오금이 저립니다. 사진=로이터 악어는 참 매력적인 동물입니다. 육식 동물이지만 천적이 없을 정도로 공격과 방어가 능숙합니다. 뭍에서 알을 낳고 물에서 살지만 뭍에서도 물에서도 당할 자가 없습니다. 유일한 천적이라면 인간이겠지요. 악어는 무려 2억2천만년전체 탄생한 종이라고 합니다. 수많은 동물들이 멸종했지만 악어는 지금도 아시아, 아프리카, 아메리카 등 지구 곳곳에서 무려 23종이 왕성하게 대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출처: http://blog.joinsmsn.com/raphason/12047170 더보기